2025

Delight seoul 2025 - logo

SCROLL

2025. 5. 8 - 2025. 11. 15

전시를 체험중인 관람객 모습 - Collage: Gwanghwa

도시는 어둡고도 찬란하며, 차갑고도 뜨겁다.
소란스러우나 고요하고, 무심하지만 다정하다.

631 - 딜라이트(Delight)의 상징적 모티프인 “청사초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인스톨레이션 작업
Synchronicity
of Simulacra
631 - 딜라이트(Delight)의 상징적 모티프인 “청사초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인스톨레이션 작업
Moon - 서서히 퍼지는 달빛은 어둠 속에서 서서히 드러나는 인간의 내면성과 감정의 흐름을 은유하며, 도시가 품고 있는 강인함과 생명력을 감각적으로 전달한다.

정보의 고정성과 유동성,
물질성과 비물질성이 교차하는
현대 도시의 복합적 정체성

12지신의 숲 Forest of the Twelve Guardians -  도시 공간 속에서 흔히 스쳐 지나칠 수 있지만, 일상 속 필수적 정보를 전달하는 ‘사인(Sign)’의 의미에 주목한 공간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City Pulse - 서울 도심 곳곳에 존재하는 수많은 간판들은 단순한 상업적 도구를 넘어, 개인의 희망과 도시의 서사를 담고 있는 상징적 매개체이다.

도시성과 인간의 감각적 경험

돌과 나무에서 시작된 이야기 A Story That Began with Stone and Wood - 공간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작품은 일상 속에서 쉽게 마주치는 돌, 나무,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손길이 오랜 시간 축적된 다양한 오브제들을 예술적 모티프로 삼아 구성되었다.기억의 스펙트럼 The Spectrum of Memory - 이 작업은 개인의 기억 속 색채가 공유되고 확장되는 지점을 추적하며, 그것이 어떻게 공동의 서사로 전환되는지를 실험합니다.
LONDON - SEOUL - PARIS
지금, 여기
익숙하면서도 낯선
공존의 장면
돌과 나무에서 시작된 이야기 A Story That Began with Stone and Wood - 공간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작품은 일상 속에서 쉽게 마주치는 돌, 나무,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손길이 오랜 시간 축적된 다양한 오브제들을 예술적 모티프로 삼아 구성되었다.

그 표면에 새겨진 시간의 흔적과
존재의 서사

Collage: Gwanghwa - 이 작품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그 뒤로 펼쳐진 북악산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의 구도를 차용합니다. 일월오봉도는 조선 왕조의 권위와 자연 질서를 상징하는 도상으로, 왕의 공간을 장식하던 가장 상징적인 회화입니다.
Collage: Gwanghwa - 이 작품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그 뒤로 펼쳐진 북악산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의 구도를 차용합니다. 일월오봉도는 조선 왕조의 권위와 자연 질서를 상징하는 도상으로, 왕의 공간을 장식하던 가장 상징적인 회화입니다.
관람객 모습 - Collage: Gwanghwa

도시의 양면성과
공존의 미학

관람객 모습 - 빛의 기억 Memory of Light
관람객 모습 - Pattern: 시간을 짓는 손길

delight seoul 2025

Delight seoul 2025

무엇이 숨겨지고 있고, 무엇이 드러나는가?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는 것은 어디까지인가?

Neon Notelgia - 본 작업은 도시 공간 속에서 흔히 스쳐 지나칠 수 있지만, 일상 속 필수적 정보를 전달하는 ‘사인(Sign)’의 의미에 주목한 공간 미디어 인스톨레이션이다.관람객 모습 - Resonance전시 모습 Neon Notelgia - 본 작업은 도시 공간 속에서 흔중 스쳐 지나칠 수 있지만, 일상 속 필수적 정보를 전달하는 ‘사인(Sign)’의 의미에 주목한 공간 미디어 인스톨레이션이다.Pattern: 시간을 짓는 손길 - 이 작업은 ‘무늬’라는 시각적 언어를 통해 시간과 기억, 그리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형상화합니다. 기억의 스펙트럼 The Spectrum of Memory - 색은 단순한 시각 요소를 넘어, 기억을 저장하고 불러오는 감각적 코드로 작동합니다.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딜라이트
서울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전시를 즐기는 관람객의 모습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FAQ
전시는 2025년 5월 8일부터 11월 15일까지 진행되며, 운영 시간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입니다. (입장 마감: 오후 7시)
현재 별도의 물품보관소는 운영하고 있지 않아 큰 짐이나 개인 소지품 보관은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본 전시장은 주차장 시설이 없으니, 인근 주차장을 이용하시거나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모차, 휠체어 이용이 가능하지만 대여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전시가 지하 3층부터 지상 5층으로 이동하는 전시장 구조입니다. 계단 및 엘리베이터로 이동은 가능하나, 혼잡도에 따라 이동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전시는 AI로 재해석 되는 서울 delight 는 AI 기술을 활용한 미디어 아트로 서울의 문화, 감성을 재해석한 체험형 예술 공간입니다.
본 전시는 관람 시 사진 및 영상 촬영이 가능합니다. 단, 대형 전문 장비 등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위생 및 안전상의 이유로 반려동물 동반 입장은 제한됩니다.
전시장 내 오염 방지를 위해 음료 및 음식물 반입은 제한되고 있습니다.
전시장 내부에는 간단한 음료와 디저트를 즐기실 수 있는 카페 공간 마련중 입니다.
보호자 없이 입장이 가능한 연령은 14세(중학생) 이상입니다. 36개월 미만은 무료입장이 가능하며 관련 증빙 서류를 필수로 지참하셔야 합니다.
단체관람의 경우 20인 이상부터 할인이 적용되며, 단체관람 문의는 070-4155-9046 연락처로 상담 후 예약이 가능합니다.
티켓은 1회 입장 기준이며, 퇴장 시 재입장이 불가합니다.
사용한 티켓은 환불 불가합니다. 티켓은 1회 입장 기준이며, 퇴장 시 재입장이 불가합니다. 관객 부주의로 상해를 입었을 경우 책임은 관객에게 있으며, 전시장에서는 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전시회는 36개월 미만은 무료입장 가능하며, 관련 증빙 서류 필수 지참 부탁드립니다. 만 65세 이상, 장애인 경증(본인), 장애인 중증(동반 1인까지), 독립/국가유공자(본인 및 유족증 소지자)는 14,000원 관람 가능하며, 관련 증빙 서류 필수 지참 부탁드립니다.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LOCATION

서울 종로구 율곡로 18
도화서길디원

2025년 5월 8일부터
11월 15일까지

오전 10:00 ~ 오후 20:00
연중무휴